💡 Cursor 버리고 Claude Code로 갈아탄 이유
"Cursor 1년 넘게 쓴 파워유저가 Claude Code로 완전히 갈아탔다"는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바로 Builder.io의 개발자 이야기인데요. 처음엔 저도 "설마 그 정도까진..." 했는데, 막상 그가 공유한 팁들을 따라해보니 정말 충격이었습니다.
오늘은 그 개발자가 직접 공개한 Claude Code 실전 활용 팁 10가지를 낱낱이 파헤쳐볼게요. 이 글 하나면 Claude Code를 처음 쓰는 분도 프로처럼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

🔥 Tip 1: 귀찮은 권한 승인, 한 번에 해결하기
문제: 5분마다 "이 파일 수정해도 돼요?" 물어봄
Claude Code의 가장 큰 단점이 뭐냐면요. 모든 작업마다 권한을 물어본다는 거예요. 코드 짜달라고 해놓고 슬랙 확인하다가 돌아오면, 한참 전부터 "Can I edit this file?"이라고 물어보며 기다리고 있더라고요.
파일 수정할 때마다, 명령어 실행할 때마다, "YES"를 눌러야 하는 게 너무 번거로웠어요.
해결책: --dangerously-skip-permissions 옵션
claude --dangerously-skip-permissions
이 명령어 하나로 모든 권한 승인을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이름이 dangerously라서 좀 무섭게 느껴지시죠? 하지만 Cursor의 YOLO 모드를 생각하시면 돼요.
실제로 몇 주간 사용했는데 단 한 번도 문제가 생긴 적이 없었다고 하네요. AI가 막 파일을 삭제하거나 위험한 명령어를 실행할까봐 걱정되실 수 있는데, 실제로는 그런 일이 거의 없어요.
더 편하게: 터미널 별칭 설정하기
매번 긴 명령어 치기 귀찮다면 별칭을 만드세요:
# ~/.zshrc 또는 ~/.bashrc에 추가
alias ccv="claude --dangerously-skip-permissions"
이제 ccv만 입력하면 바로 시작! 저도 이렇게 쓰고 있는데 정말 편해요. 👍
💰 Tip 2: /clear로 토큰(돈) 아끼기
문제: 대화 기록이 쌓이면서 토큰 낭비
Claude Code는 대화 기록이 계속 쌓입니다. 이전 대화 내용이 모두 메모리에 남아있으면서 토큰을 계속 소비하죠. 게다가 대화가 길어지면 Claude가 자동으로 이전 대화를 요약하는 "compaction call"을 실행하는데, 이것도 비용이 들어요.
해결책: 작업 시작할 때마다 /clear
/clear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때마다 이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이전 대화 내용을 모두 지워서 토큰을 아낄 수 있어요. 로그인 기능 만들다가 이제 결제 기능 만들 건데, 굳이 로그인 관련 대화 내용까지 메모리에 남아있을 필요는 없잖아요?
꿀팁: 이전 대화는 어떻게 찾나요?
걱정 마세요! 위쪽 화살표 키를 누르면 이전 세션의 대화 기록을 탐색할 수 있어요. 어제 했던 작업을 다시 참고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Tip 3: 메시지 큐잉으로 시간 벌기
게임 체인저급 기능
이 기능은 정말... 혁명입니다. Cursor 쓸 때 가장 답답했던 게 뭐냐면, 하나 작업 끝나면 다음 작업 입력하고, 또 끝나면 다음 거 입력하고... 이걸 계속 지켜봐야 했거든요.
Claude Code는 다릅니다
여러 개의 요청을 연달아 던져놓으면 알아서 척척 처리해줘요.
"댓글 기능 추가해줘"
"주석도 좀 더 자세히 달아줘"
"타입스크립트 에러 체크도 해줘"
"테스트 코드도 작성해줘"
이렇게 4개를 연달아 입력하고 커피 한 잔 마시러 갔다가 돌아오면 다 끝나 있어요! 🎉
똑똑한 자동 진행
Claude는 언제 자동으로 다음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지 알아요. 만약 중간에 사용자 피드백이 필요하면 멈추고 기다립니다. 그게 아니면 큐에 있는 다음 메시지를 자동으로 실행하죠.
실제 사용 패턴:
- 아침에 출근해서 해야 할 작업들 쭉 입력
- 회의 가거나 다른 업무 처리
- 돌아오면 대부분 완료되어 있음
- 중간중간 피드백 필요한 것만 확인
Cursor 쓸 때는 계속 모니터 앞에 앉아있어야 했는데, 이제는 정말 멀티태스킹이 가능해졌어요.
🤖 Tip 4: GitHub PR 자동 리뷰 설정하기
AI 시대, PR 리뷰의 새로운 패러다임
AI 도구를 쓰면서부터 PR 개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죠? 문제는 리뷰하는 사람은 그대로라는 거예요. Claude Code는 이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설정 방법
/install-github-app
이 명령어 하나면 끝! GitHub App이 자동으로 설치되고, 이후 모든 PR에 Claude가 자동으로 리뷰를 달아줍니다.
문제: 기본 설정은 너무 장황함
기본 설정대로 쓰면 모든 사소한 것에 대해 장문의 코멘트를 달아요. 변수명이 어떻고, 들여쓰기가 어떻고... 정작 중요한 버그는 못 찾고 말이죠.
해결: 리뷰 프롬프트 커스터마이징
프로젝트 루트에 claude-code-review.yml 파일 생성:
direct_prompt: |
이 PR을 리뷰하고 버그와 보안 이슈만 보고해줘.
발견한 버그와 잠재적 취약점에 대해서만 간결하게 작성해줘.
이렇게 하면 정말 중요한 것만 짚어줍니다.
실제 효과
놀라운 건, Claude가 사람이 못 찾는 버그를 찾아낸다는 거예요. 사람들은 주로 변수명이나 코드 스타일을 지적하지만, Claude는 실제 로직 에러와 보안 이슈를 찾아내요.
예를 들면:
- 경계값 체크 누락
- 잠재적 null 참조 에러
- SQL 인젝션 취약점
- 레이스 컨디션 가능성
이런 것들을 정말 잘 잡아내더라고요! 👏
🎯 Tip 5: 터미널 단축키 완전 정복
알면 편하고, 모르면 불편한 단축키들
터미널 인터페이스라서 처음엔 좀 낯설 수 있어요. 하지만 이 단축키들만 알면 훨씬 편해집니다!
필수 단축키 5가지
1. Shift + Enter: 줄바꿈 입력하기
기본적으로는 Enter만 누르면 메시지가 전송되죠? 여러 줄 입력하고 싶을 때는 Shift + Enter를 사용하세요.
참고로 이게 기본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terminal-setup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정해줍니다!
2. Control + V: 이미지 붙여넣기
스크린샷을 Claude에게 보여주고 싶을 때, Command + V가 아니라 Control + V를 사용해야 해요! 이거 몰라서 한참 헤맸다고 하네요. 😅
3. Escape: Claude 멈추기
작업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을 때, Escape를 누르면 즉시 중단됩니다.
주의: Control + C를 누르면 Claude가 완전히 종료되니 조심하세요!
4. Escape 두 번: 이전 메시지로 돌아가기
Escape를 연속으로 두 번 누르면 이전 대화 목록이 나타나요. 여기서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5. Shift + 드래그: 파일 참조 추가
파일을 그냥 드래그하면 새 탭에서 열리죠? Shift를 누른 채로 드래그하면 Claude에게 파일 참조를 추가할 수 있어요.
@src/components/Button.tsx
이런 식으로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 Tip 6: 대형 파일도 문제없이 수정하기
18,000줄짜리 React 컴포넌트 수정 성공
Builder.io에는 18,000줄짜리 React 컴포넌트가 있다고 해요. (코드 정리 좀... 하긴 해야 하는데 😅) 놀라운 건, Claude Code만이 이 파일을 성공적으로 수정했다는 거예요.
Cursor의 한계
Cursor를 쓸 때는:
- 패치 충돌이 자주 발생
- 파일을 통째로 다시 써야 하는 경우가 많음
- 대형 파일에서 자주 멈춤
- 계속 지켜보면서 베이비시터처럼 케어해야 함
Claude Code의 강점
Claude Code는:
- 대형 파일도 안정적으로 처리
- 패치 충돌이 거의 없음
- 중간에 멈추는 경우가 거의 없음
- 복잡한 코드베이스도 정확하게 이해
실제로 몇 주간 사용하면서 단 한 번도 멈춘 적이 없었다고 하네요!
코드베이스 탐색 능력
Claude Code는 대형 코드베이스를 탐색하는 능력도 뛰어나요:
- 패턴 검색
- 컴포넌트 간 관계 파악
- 공유 상태 추적
- 의존성 분석
이런 것들을 정말 잘하더라고요. "이 함수가 어디서 쓰이는지 찾아줘" 하면 척척 찾아내요!
⚙️ Tip 7: 커스텀 슬래시 명령어로 반복 작업 자동화
매일 하는 작업, 명령어 하나로 끝내기
개발하다 보면 계속 반복하는 작업들이 있잖아요? 테스트 코드 작성, 커밋 메시지 생성, 이슈 티켓 만들기 등등...
나만의 명령어 만들기
.claude/commands 폴더에 .md 파일로 명령어를 만들 수 있어요.
예시 1: 테스트 코드 자동 생성
.claude/commands/test.md:
$ARGUMENTS에 대한 종합적인 테스트를 작성해줘.
요구사항:
- Jest와 React Testing Library 사용
- __tests__ 디렉토리에 배치
- Firebase/Firestore 의존성 목킹
- 모든 주요 기능 테스트
- 엣지 케이스와 에러 시나리오 포함
- MobX observable state 변화 테스트
- computed 값 업데이트 검증
- 사용자 상호작용 테스트
- afterEach에서 적절한 cleanup
- 높은 코드 커버리지 목표
사용법:
/test MyButton
이제 MyButton에 대한 완벽한 테스트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예시 2: 커밋 자동화
.claude/commands/commit.md:
1. git status와 git diff로 변경사항 파악
2. git log로 기존 커밋 메시지 스타일 확인
3. 컨벤셔널 커밋 형식 적용:
- 타입: chore, feat, fix, style, refactor 등
- 범위: 해당되는 경우 (선택적)
- 설명: 변경사항의 핵심 요약
4. 적절한 커밋 메시지 작성 후 커밋 실행
사용법:
/commit
변경사항을 분석해서 적절한 커밋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커밋까지 해줘요!
폴더 구조로 명령어 그룹화
.claude/commands/
├── test.md
├── commit.md
└── builder/
├── plugin.md
└── component.md
이렇게 하면:
- /test: 테스트 생성
- /commit: 커밋 자동화
- /builder/plugin: Builder 플러그인 생성
- /builder/component: Builder 컴포넌트 생성
팀 전체가 동일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어요. 신규 입사자도 이 명령어들만 알면 바로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죠!
📝 Tip 8: CLAUDE.md로 프로젝트 규칙 자동화
매번 같은 설명 반복하기 지겹다면?
Claude한테 작업 요청할 때마다:
- "우리 프로젝트는 MUI 컴포넌트 써야 해"
- "테스트는 Jest로 해줘"
- "커밋은 컨벤셔널 커밋 형식으로"
이런 거 매번 설명하기 귀찮으시죠?
CLAUDE.md 파일 하나로 해결
프로젝트 루트에 CLAUDE.md 파일을 만들어보세요:
# 프로젝트 개요
React + TypeScript + MobX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 빌드 & 테스트 명령어
- 개발 서버: `npm run dev`
- 빌드: `npm run build`
- 테스트: `npm run test`
- 린트: `npm run lint`
- 타입 체크: `npm run type-check`
## 코딩 규칙
- **컴포넌트**: 함수형 컴포넌트만 사용
- **스타일링**: styled-components 사용
- **UI 라이브러리**: MUI 컴포넌트 우선 사용
- **상태 관리**: MobX 스토어 활용
- **테스트**: Jest + React Testing Library
## 파일 구조
- `/src/components`: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 `/src/pages`: 페이지 단위 컴포넌트
- `/src/stores`: MobX 스토어
- `/src/utils`: 유틸리티 함수
- `/src/hooks`: 커스텀 훅
## 중요한 규칙
- 모든 새 컴포넌트는 PropTypes 정의 필수
- API 호출은 반드시 try-catch로 에러 핸들링
- console.log는 개발 환경에서만 사용
이제 Claude가 자동으로 규칙을 따릅니다!
새 컴포넌트를 만들어달라고 하면:
- ✅ 자동으로 MUI 컴포넌트 사용
- ✅ styled-components로 스타일링
- ✅ PropTypes 정의 포함
- ✅ 올바른 폴더에 파일 생성
일관된 코드 스타일이 자동으로 유지되는 거죠!
계층적 CLAUDE.md
프로젝트루트/
├── CLAUDE.md (전체 프로젝트 규칙)
└── src/
└── components/
└── CLAUDE.md (컴포넌트 관련 규칙)
이렇게 하면 더 세부적인 규칙도 적용할 수 있어요. Claude는 가장 가까운 CLAUDE.md를 우선 적용합니다!
🔧 Tip 9: Hooks로 코드 품질 자동 관리
파일 저장할 때마다 자동으로 포맷팅된다면?
코드 작성 → 저장 → Prettier 실행 → 타입 체크 실행...
이 과정을 매번 수동으로 하기 귀찮으시죠?
Hooks가 자동으로 해줍니다
.claude/settings.json 파일 생성:
{
"hooks": [
{
"matcher": "Edit|Write",
"hooks": [
{
"type": "command",
"command": "prettier --write \"$CLAUDE_FILE_PATHS\""
}
]
},
{
"matcher": "Edit",
"hooks": [
{
"type": "command",
"command": "if [[ \"$CLAUDE_FILE_PATHS\" =~ \\.(ts|tsx)$ ]]; then npx tsc --noEmit --skipLibCheck \"$CLAUDE_FILE_PATHS\" || echo '⚠️ TypeScript 에러 발견 - 확인 필요'; fi"
}
]
}
]
}
이제 자동으로:
- 파일 수정 시: Prettier 자동 실행
- TypeScript 파일 수정 시: 타입 체크 자동 실행
- 에러 발견 시: 즉시 알림
코드 품질이 자동으로 유지되는 거예요!
다양한 Hook 활용
- PreToolUse: 도구 실행 전
- PostToolUse: 도구 실행 후
- Notification: Claude가 알림 보낼 때
- Stop: Claude 응답 완료 시
이런 시점에 원하는 스크립트를 자동 실행할 수 있어요.
예를 들면:
- 테스트 자동 실행
- 린트 체크
- 빌드 검증
- 커스텀 검증 스크립트
손 하나 까딱 안 해도 코드 품질이 보장됩니다!
🧠 Tip 10: # 기호로 프로젝트 메모리 빠르게 추가
자주 하는 말, 메모리에 저장하기
"아, 맞다. 우리 프로젝트는 항상 MUI 컴포넌트 써야 한다고..."
이런 거 매번 다시 설명하기 귀찮으시죠?
# 기호 하나로 즉시 저장
# 새 컴포넌트 만들 때는 항상 MUI 컴포넌트 사용해줘
이렇게 입력하면 자동으로 가장 적절한 메모리 파일에 저장됩니다!
메모리 종류
1. 프로젝트 메모리 (.claude/CLAUDE.md)
- 팀 전체가 공유
- Git에 커밋됨
- 프로젝트 규칙, 코딩 스타일 등
2. 개인 메모리 (.claude/CLAUDE.local.md)
- 나만 사용
- Git에서 무시됨 (.gitignore)
- 개인적인 작업 스타일, 임시 메모 등
3. 전역 메모리 (~/.claude/memory)
-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
- 개인 선호사항, 일반적인 규칙 등
계층적 메모리 시스템
Claude는 현재 위치에서 루트까지 모든 CLAUDE.md 파일을 읽어요.
프로젝트/
├── CLAUDE.md (항상 읽음)
└── src/
└── utils/
└── CLAUDE.md (utils에서 작업 시 추가로 읽음)
가장 구체적인 규칙이 우선 적용됩니다!
메모리 관리 명령어
/memory
이 명령어로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어요:
- 저장된 메모리 확인
- 메모리 수정
- 메모리 삭제
💡 보너스 팁: 왜 Claude Code가 더 나을까?
마지막으로, Builder.io 개발자가 밝힌 Claude Code의 진짜 강점을 공유할게요.
제조사 직접 판매의 이점
Cursor나 다른 도구들은:
- 범용 에이전트를 만들어야 함
- 여러 모델을 지원해야 함
- 커스텀 모델 훈련에 투자해야 함
- Anthropic에 비용 지불 + 자체 마진
Claude Code는:
- Anthropic이 직접 만듦
- Claude 모델에 최적화
- 문제 생기면 모델 자체를 개선
- 마진 없이 최대한 저렴하게 제공
애플 스토어에서 아이폰 사는 것과 같은 이치죠!
가격 대비 가치
월 $100 (약 13만원)이 비싸게 느껴지시나요?
계산해보면:
- 개발자 평균 시급: 최소 5만원
- 하루 1시간만 절약: 월 100만원 절약
- 실제 비용: 월 13만원
투자 대비 수익률이 700%입니다!
게다가 Claude는:
- 24시간 일함
- 쉬지 않음
- 불평하지 않음
- 계속 똑똑해짐
이런 "개발자"를 월 13만원에 고용할 수 있다면? 당연히 써야죠!
🎁 실전 활용 조합 팁
마지막으로, 이 팁들을 어떻게 조합해서 쓰는지 알려드릴게요.
🌅 아침 루틴
# 1. 권한 승인 없이 Claude 실행
ccv
# 2. 어제 작업 확인 (위쪽 화살표)
↑
# 3. 오늘 할 작업들 큐에 쌓기
"로그인 버그 고쳐줘"
"결제 페이지 리팩토링해줘"
"테스트 커버리지 80% 이상으로 올려줘"
→ 회의 가고, 돌아오면 대부분 완료! ☕
🚀 새 기능 개발
# 1. 새 작업이니 메모리 클리어
/clear
# 2. 커스텀 명령어로 빠르게 시작
/builder/component ProductCard
# 3. 추가 요청 큐잉
"테스트도 작성해줘"
"스토리북 스토리도 만들어줘"
# 4. 완료되면 자동 커밋
/commit
→ Hooks가 자동으로 포맷팅 & 타입 체크까지!
🐛 버그 수정
# 파일 참조하면서 버그 설명
@src/components/Cart.tsx 이 파일에서
장바구니 비울 때 상태가 제대로 초기화 안 돼. 고쳐줘.
# 수정 완료되면 자동 PR
"테스트 실행하고, 타입 체크하고, 포맷 체크해서
문제없으면 커밋하고 푸시해서 PR 만들어줘"
→ GitHub PR 자동 리뷰까지 완료!
💭 마무리하며
Builder.io의 Cursor 파워유저가 Claude Code로 완전히 갈아탄 이유, 이제 이해되시나요?
단순히 "또 다른 AI 코딩 도구"가 아니라, 개발 워크플로우 자체를 바꾸는 도구인 거예요. 특히 이 10가지 팁을 활용하면 정말 압도적인 생산성 향상을 경험하실 수 있을 거예요.
핵심만 요약하면:
✅ --dangerously-skip-permissions로 권한 승인 스킵
✅ /clear로 토큰 절약
✅ 메시지 큐잉으로 멀티태스킹
✅ 자동 PR 리뷰로 버그 조기 발견
✅ 터미널 단축키로 효율성 극대화
✅ 대형 파일도 안정적으로 처리
✅ 커스텀 명령어로 반복 작업 자동화
✅ CLAUDE.md로 팀 규칙 자동화
✅ Hooks로 코드 품질 자동 관리
✅ # 기호로 빠른 메모리 추가
📌 참고 링크
'기술의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eact 19 useActionState 완벽 가이드 - 폼 관리가 이렇게 쉬워진다고? (0) | 2025.10.15 |
|---|---|
| Claude Code 사용할 때 Opus 4.1? Sonnet 4.5? 개발자가 알려주는 현실 선택 가이드 (0) | 2025.10.14 |
| Next.js 16.0 Beta 완전 분석 - 15버전과 뭐가 달라졌을까? (0) | 2025.10.13 |
| React 19.2 완벽 가이드 - 19.1과 비교하며 알아보는 최신 기능 (0) | 2025.10.10 |
| 5분만에 이해하는 CSRF 공격 완벽 가이드 (1) | 202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