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ct15

[지속 가능한 Frontend개발] Component Component는 의존적이지 않고(independent), 재사용이 가능한(reusable) 고립(isolation)된 단위를 말한다. 이 정의에 맞춰서 Component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지속 가능한 Component가 나온다. 이 정의에 맞추기 위한 글들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도 한번 살펴보겠다. 독립성 다른 Component에 의존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개발자는 최대한으로 의존적이지 않게 해야 하지만 개발하다 보면 항상 독립적으로 만들기가 쉽지 않다(언젠간 의존성을 가진 Component를 만들게 될 것이다) 이런 경우엔 아예 코드 자체에서 최대한으로 의존성을 노출해줘야 한다. 독립적인 Component를 만든다는 것이 결국 재사용을 위함인데 재사용 시 개발자에게 '나 여기에 종속돼요!'.. 2022. 11. 20.
[React] React Hook Form으로 Form Validation 쉽게 하기 웹 개발, 특히 프론트앤드 개발을 하다 보면 Form Control을 할 일이 자주 있다. 로그인, 회원 가입, 게시물 작성 등 꽤 자주 활용하게 된다. 보통 Form에 입력된 값들은 DB에 넣거나 조회하는 등 할 때 사용되는데 Submit 하기 전에 입력을 제대로 했는지, 빠진 값들은 없는지 하는 Validation 과정을 거친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매우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React Hook Form" 이다. React Hook Form 의 장점은 1. 코드 량이 적다. 2. Validation이 강력하다. 3. Error 잡기 좋다. 4. Input Control 유용하다 5. 이벤트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6. Input 처리가 간편하다 그럼 React Hoo.. 2022. 3. 13.
[React] IIS 서비스 환경에서새로고침 시404 에러 방지법 React를 IIS에서 구동했을 떄 새로고침 시 404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다. SPA 특성상 새로고침 시 Router에서의 URI 인식 등으로 인해 404 에러가 뜰 것이다. 물론 서버단에서 새로고침 요청 시 잘 만들면 되겠지만 IIS의 web.config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방지할 수 있다. 2022. 1. 10.
반응형